검소하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은

기타



어느 날 누군가 다가와 ”한국의 미는 무엇인가요?“라고 질문한다면 어떤 답변이 떠오르시나요.


동양철학을 공유하는 이웃 국가인 중국과 일본만 해도 각 국가에 씐 일관된 이미지가 있습니다. 화려함 속 내공이 느껴지는 중국 문화와 차가울 정도로 정제된 추상 미학의 일본, 그 사이 한국의 미를 해설하는 탁월한 여덟 글자를 소개합니다.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 이것은 김부식의 삼국사기에서 백제 궁궐을 평한 문구이자 조선의 한양을 설계한 정도전이 재차 거론한 우리 미학의 특성입니다.


궁궐이 갖춰야 할 덕목을 말하는 검이불루 화이불치는 나아가 한국 예술을 관통하는 핵심 가치를 대변합니다. 그동안 우리 미학에 대해 뭉뚱그려 표현됐던 ‘자연스러운’, ‘소박한’, ‘수수한’, ‘무기교의 기교’ 등은 사실 한국의 미를 다 담기엔 초라한 수식어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자칫 우리 전통예술이 어쩌다 형성된 유아적 결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상의 표현은 될 수 있겠으나 그 뛰어난 창작성까지 함의하기엔 못내 아쉽죠.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기 위해선 타당한 철학에서 오는 합리적인 주장이 필요합니다. 설령 단순한 동그라미라도 그것이 어떤 개념을 내포한 예술가의 작품이라면 인문학적 의의가 형성됩니다.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기 위해선 미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애플의 아이폰이 단조로운 형태에도 뛰어난 미감을 전달할 수 있는 이유는 철저히 계산된 비례와 흉내 내기 힘든 정교한 마감을 자랑하기 때문입니다.





백제 금동대향로, 황남대총 금관,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조선 5대 궁과 종묘, 고려청자와 조선백자 등 한민족 역사에 시대별로 등장하는 뛰어난 예술성을 ‘검이불루 화이불치’만큼 더 잘 표현할 수 있는 문구가 있을까요?


📷 국가문화유산포털

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