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명의 사진가가 포착한 밤의 서사

전시 소개



밤은 창작자에게는 영감과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사색의 시간입니다. 특별한 의미를 지닌 ‘밤’, 그리고 창작의 원천 ‘무의식’을 주제로 국내외 사진 작가 32명이 모였습니다. 사진 전문 미술관 #뮤지엄한미(@museumhanmi) 삼청은 1900년대 초반 작품부터 동시대 국내외 작가들 작품 101점을 모은 전시 《밤 끝으로의 여행》을 8월 25일까지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미국 회화주의와 모더니즘, 유럽 아방가르드 등을 포괄하는 20세기 사진예술의 흐름을 짚고, 현 시대에 첨예한 시선을 보내는 현대 사진가들까지 시대를 넘나듭니다. 그 흐름과 대표작을 간략하게 알아볼까요?


1. 녹투라미

밤이 되면 야행성 동물들이 깨어나죠. 동물원에서 야행성 동물들이 사는 곳을 녹투라마(nocturama)라고 합니다. 풍경 사진의 대가 #앤설애덤스(1902~1984)의 <뉴멕시코 헤르난데스의 월출>이 관람자의 감각을 깨우면 주위를 배회하는 들개와 곤충들이 눈을 사로잡습니다. 밤 풍경을 보며 관람자는 서서히 어둠 속으로 녹아듭니다.





2. 무의식 속 욕망

낮의 이성이 벗겨지고 어둠의 장막이 드리워지면 보다 충동적이고 솔직해집니다. 유리 판화 기법을 접목한 파리의 사진가 #브라사이(1899~1984)의 <트랜스뮤테이션>과 #어빙펜(1917~2009)의 감각적인 <누드> 시리즈, #제리율스만(1934~2022)의 포토몽타주를 눈여겨 보세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은밀한 욕망과 결핍, 기쁨, 불안이 육체로 구현됩니다.





3. 꿈, 압축과 전위

꿈은 무의식의 발현이자 욕망의 분출구입니다. 이성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기이한 내용들이 꿈으로 나타나기도 하죠. 그 기이함처럼 긴장과 균형, 파열과 리듬을 공감각적으로 구현한 작품들이 반깁니다. #김규식(b.1972)의 실험 연작 <진자운동실험>과 필름을 태워 만든#황규태(b.1938)의 <우주 환경의 미래-버노그래피>는 피사체 없이 긴장감 넘치는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4. 어둠을 삼킨 밤

프로이트는 죽음을 향한 충동이 즐거움이나 쾌락을 향한 충동만큼 크다고 말했습니다. #다이앤아버스(1923~1971)가 드러낸 소외된 인물들, #마리오자코멜리(1925~2000)의 몽상적 이미지처럼 결말에 다다를수록 죽음과 끝을 암시하는 표상들이 공간을 채웁니다. 그 끝에는 #W.유진스미스(1918~1978)의 <후안 카라 트루히요의 경야>와  #송영숙(b.1948)의 <환희>가 새로운 시작을 알립니다.





이번 전시는 프랑스 작가 루이-페르디낭 셀린의 자전적 소설 《밤 끝으로의 여행》을 모티브로 구성되었습니다. 전쟁을 겪으면서 참혹한 현실 속 빈곤과 절망을 경험한 셀린은 날 것 그대로의 언어로 어둠을 비췄죠. 모두가 잠들어 재충전을 청하는 밤, 그 여로의 끝에서 우리는 보다 솔직해질 수 있을까요?


《밤 끝으로의 여행》

• 사진가 32인, 101점의 밤과 무의식

• 2024.05.22 ~ 2024.08.25

• 뮤지엄한미 삼청, 서울 종로구 삼청로9길 45


Editor. 박현정

Image. 뮤지엄 한미


#구본창 #김재수 #IrvingPenn #ManRay #Brassaï

난트